그렇게 하여

 

어릴 적 우리 동네 떡 방앗간에 무럭무럭 김이 오르면 참
신이 났습니다. 귓볼이 얼얼할 정도로 매서운 추위에도 땀
을 뻘뻘 흘리며 기계를 돌리시는 주인집 아저씨나 쑥쑥 밀
려나오는 백묵보다 하얀 떡가래를 가위로 숭덩숭덩 잘라내
는 아주머니, 그리고 옆에서 연신 한마디씩 거들어대는 객
꾼들의 얼굴에도 웃음꽃이 피곤 했습니다. 떡쌀 담긴 바구
니로 긴 줄을 세워 놓고 기다리는 틈에 우리 엄마라도 끼
어 있으면 그 미끈미끈하고 쫄깃쫄깃한 가래떡 맛을 볼 수
있다는 기대로 하루 종일 배가 고프지 않았습니다.
이렇듯 방앗간이 분주해질 때쯤부터는 동짓달 저녁해만
큼이나 짧은 거리에 있는 정류장도 붐비기 시작합니다. 평
소에는 하루 종일 한 두 명이나 타고 내릴 한적한 정류장
에 털털거리는 버스가 지나가면 한 무더기씩 사람들이 내
리곤 했습니다.
그 속에는 꼭 아버지를 따라 도시로 전학 갔던 친구나 서
울 사는 옆집 철이네 사촌 같은, 또래의 아이들이 끼어 있
었고, 어쩌다 마주치게 되면 나는 몸이 꼬이고 그들은 어
깨가 으쓱거렸습니다. “야, 니 여기서 뭐하노?”같은 투박
한 억양이나 “얘, 너 몇 학년이니?”하는 끝이 살짝 올라가
는 얼찐말(경상도 사투리로 서울말을 이름)로 말을 걸어올
땐 참 답답했습니다. 그 어린 마음에도 촌놈이 되기 싫었
던가요. 웃기만 하고 대답을 하지 않았습니다. 그게 더 촌
놈의 모습인데 말입니다.
하여튼 몇 달만 도시 물을 먹고 와도 혀가 꼬부라지는 기
막힌 현지화(?)에 감탄하면서도 내심 그들이 부럽기 한이
없었습니다. 몇 일간 그렇게 동경의 날들을 보내고 나면
설도 지나가고 방학도 거의 끝이 납니다. 그러면 밀물 빠
지듯이 사람들이 나가고 방앗간이나 정류장이나 마을 어귀
도 다시 조용해지고 차분해지지요. 그렇게 섣달과 정월이
지나면서 나이를 한 살 더 먹고 마음도 조금씩 자라났나
봅니다. 그로부터 얼마 안 있으면 꼭 새순이 돋고 세상이
푸르러졌으니까요.